맨위로가기

이강철 (야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강철은 대한민국의 야구인으로, 선수 시절 투수로 활약했으며, 현재는 지도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광주제일고등학교와 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 야구 월드컵과 하계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1989년 해태 타이거즈에서 데뷔하여 152승을 기록하며 KBO 리그 역대 3위에 해당하는 승수를 올렸으며, 1749개의 탈삼진으로 역대 2위에 올랐다. 1996년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KIA 타이거즈, 넥센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 등에서 코치로 활동했으며, 2019년부터 kt 위즈의 감독을 맡아 팀을 통합 우승으로 이끌었다.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프로 야구 150승 클럽 - 정민철
    정민철은 1991년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하여 2009년 은퇴할 때까지 활약한 대한민국 프로 야구 선수로, 승률왕, 한국시리즈 우승을 기록하고, 통산 161승으로 KBO 리그 역대 2위에 해당하며, 은퇴 후 코치, 해설위원, 단장 등을 역임했다.
  • KT 위즈 감독 - 김진욱 (1960년)
    김진욱은 1984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 야구 지도자로, 현역 시절 '선동열의 천적'으로 불렸으며 은퇴 후 두산 베어스와 kt 위즈의 감독을 역임했다.
  • KT 위즈 감독 - 조범현
    조범현은 1982년 OB 베어스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해 삼성 라이온즈를 거쳐 은퇴한 후, 삼성 라이온즈, 쌍방울 레이더스 코치를 거쳐 SK 와이번스와 KIA 타이거즈 감독, 그리고 kt 위즈 초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 지도자이다.
이강철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강철
한글 이름이강철
한자 이름李強喆
로마자 표기I Gangcheol
일본어 표기李 強喆 (イ・ガンチョル)
출생일1966년 5월 24일
출생지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신장180cm
체중78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선수 경력
프로 입단 연도1989년
드래프트 순위1989년 1차 지명 (해태 타이거즈)
소속 구단해태 타이거즈 (1989년 ~ 1999년)
삼성 라이온즈 (2000년 ~ 2001년)
KIA 타이거즈 (2001년 ~ 2005년)
첫 출장 (KBO)1989년 4월 13일, 삼성 라이온즈
마지막 출장 (KBO)2005년 6월 19일, 현대 유니콘스
통산 승패 기록152승 109패
통산 평균 자책점3.29
통산 탈삼진1,749개
통산 세이브53개
수상 경력
주요 수상1989년 KBO 리그 최다 선발승
1992년 KBO 리그 탈삼진왕, 최다 선발승
1996년 KBO 리그 한국시리즈 MVP
한국시리즈 우승5회 (1989, 1991, 1993, 1996, 1997)
지도자 경력
코치 경력KIA 타이거즈 2군 투수코치 (2005년)
KIA 타이거즈 투수코치 (2007년 ~ 2012년)
넥센 히어로즈 수석코치 (2012년 ~ 2016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코치 (2017년 ~ 2018년)
두산 베어스 수석/메인투수코치 (2018년)
감독 경력두산 베어스 2군 감독 (2017년)
KT 위즈 감독 (2019년 ~ 현재)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23년)
기타 정보
연봉6억원 (2024년)
등번호71 (KT 위즈 감독)
학교광주제일고등학교
동국대학교
계약금6억원

2. 선수 시절

광주 출신으로 광주제일고등학교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 야구 월드컵과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로 활약했다.

1989년 23세의 나이로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첫해부터 15승 8패, 평균자책점 3.23을 기록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해태 시절 총 5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 특히 1992년에는 18승을 거두고 155탈삼진으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1996년 한국시리즈에서는 2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0.56을 기록하며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었다.[2]

1999년 시즌을 쉰 뒤 2000년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으나, 2001년 시즌 중반 친정팀인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되어 복귀했다. KIA에서는 주로 구원 투수로 활동했다.

2004년 시즌 동안 선동열의 KBO 통산 탈삼진 기록(1,698개)을 넘어섰으나, 같은 해 송진우가 이 기록을 다시 경신했다.

2005년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통산 152승(역대 3위)과 1,749탈삼진(역대 2위)이라는 뛰어난 기록을 남겼다.

2. 1. 해태 타이거즈 시절 (1989-1999)

광주에서 태어나 광주제일고등학교동국대학교를 졸업했다. 1988년 야구 월드컵과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로 활약한 후, 1989년 23세의 나이로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첫해부터 15승 8패, 평균자책점 3.23을 기록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는 등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선수 생활 동안 해태 타이거즈에서 총 5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

해태 시절 이강철은 KBO 리그 역사에 전무후무한 10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 10년 연속 세 자릿수 탈삼진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꾸준함의 대명사였다. 조계현, 이광우와 함께 강력한 투수진을 구축하며 팀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특히 1992년에는 18승 9패, 155탈삼진(리그 1위)을 기록하며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당시 송진우와 치열한 다승왕 경쟁을 펼쳤는데, 송진우가 9월 17일 구원승으로 19승(11선발승)을 거두자[5] 당시 김응용 감독은 다음 날 이강철을 선발로 투입했으나, 빙그레의 장종훈에게 역전 홈런을 허용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6] 이로 인해 정규 시즌 MVP는 장종훈에게,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는 롯데 자이언츠의 신인 염종석에게 돌아갔다. 송진우는 구원승(8승)이 포함되어 있어 최다 선발승(17승) 타이틀은 이강철과 롯데 자이언츠윤학길이 공동으로 수상했다. 이강철의 17선발승은 역대 언더핸드 투수 단일 시즌 최다 선발승 기록으로 남아있다.

우완 언더핸드 투수로서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사용했으며, 당대 최고의 언더핸드 투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996년 한국시리즈에서는 현대 유니콘스를 상대로 5경기에 등판하여 2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0.56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 MVP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2]

1999년 시즌에는 개인 사정으로 한 해를 쉬었다.

2. 2. 삼성 라이온즈 시절 (2000-2001)

1999년 시즌을 쉰 뒤, 2000년 자유 계약 선수(FA) 자격을 얻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하며 KBO 리그에 복귀했다. 하지만 이적 전에 입었던 무릎 부상 등의 영향으로 2001년 시즌에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결국 2001년 시즌 중반, 현금 2억에 친정팀인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되었다.

2. 3. KIA 타이거즈 시절 (2001-2005)

2000년 삼성 라이온즈에서 KBO 리그에 복귀했으나 좋은 투구를 보여주지 못했고, 2001년 시즌 중반 다시 타이거즈 구단(현재의 KIA 타이거즈)으로 트레이드되어 복귀했다. KIA 타이거즈에서는 주로 구원 투수로 활동했다.

2004년 시즌 동안 이강철은 선동열의 KBO 통산 탈삼진 기록인 1,698개를 넘어섰다. 하지만 이 기록은 같은 시즌 후반에 송진우에 의해 다시 경신되었다.

2005년 시즌을 마치고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당시 그의 통산 1,749 탈삼진은 KBO 리그 역대 2위였으며, 통산 152승은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었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2006년부터 KIA 타이거즈에서 투수 코치로 활동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7] 이후 넥센 히어로즈 수석코치[7], 두산 베어스 코치[1][3] 등을 거쳤다. 2018 시즌 종료 후 KT 위즈의 3대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며,[1] 부임 후 팀을 창단 첫 5할 승률[3]2021년 통합 우승으로 이끌었다.

3. 1. 코치 시절

은퇴 후 2006년부터 2012년까지 KIA 타이거즈의 투수 코치로 활동하며 코칭 경력을 시작했다. 2010년에는 당시 투수코치였던 스기모토 다다시가 성적 부진으로 2군으로 내려가자 그 자리를 이어받아 1군 투수코치를 맡았다.

2012년 시즌 후, 당시 넥센 히어로즈의 새 감독으로 선임된 염경엽의 요청으로 넥센 히어로즈의 수석코치로 자리를 옮겨[7] 2016년까지 활동했다.

2017년에는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코치를 맡아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이후 두산 베어스로 옮겨 2017년에는 퓨처스 리그 감독을[1], 2018년 시즌에는 1군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3]

3. 2. KT 위즈 감독 시절 (2019-)

2018 시즌 종료 후, 김진욱의 후임으로 KT 위즈의 3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 이전까지 하위권에 머물던 KT 위즈는 이강철 감독 부임 첫 해인 2019년에 창단 첫 5할 승률을 달성하며 6위를 기록했다.[3] 이후 KT 위즈는 성적을 향상시켜 2020년에는 3위를 기록했고, 2021년에는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2022년 7월 21일,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4]

4. 주요 기록

해태 타이거즈에서 전무후무한 4년 연속 15승 이상, 10년 연속 두 자릿수 승, 10년 연속 세 자릿수 탈삼진 이상을 기록한 언더핸드 투수였다. 1992년에는 18승(17선발승) 9패, 155탈삼진을 기록하며 그 해 KBO 리그 탈삼진 1위를 차지했다. 이 17선발승 기록은 역대 잠수함 투수 최다 선발승 기록으로 남아있다. 당시 다승왕 타이틀 경쟁을 했던 송진우9월 17일에 구원승으로 19승(11선발승)을 거두자[5] 당시 감독이었던 김응용이 다음 날 선발로 투입시켰지만 장종훈에게 역전 홈런을 허용해 패전 투수가 됐다.[6] 결국 정규 시즌 MVP는 장종훈,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는 염종석에게 돌아갔고, 송진우는 8구원승이 포함돼 있어 최다 선발승 타이틀은 그와 윤학길에게 돌아갔다.

1996년에는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으며, 타이거즈현대 유니콘스를 상대로 4승 2패로 승리했다.[2] 이강철은 시리즈 동안 2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0.56을 기록했다.

은퇴 당시 통산 152승(역대 3위), 1,749 탈삼진(역대 2위)을 기록했다. 2004년 시즌 중 선동열의 KBO 통산 탈삼진 기록인 1,698개를 넘어섰으나, 이 기록은 그 시즌 후반 송진우에 의해 경신되었다. 슬라이더가 주무기인 언더핸드 투수로, 현재에도 최고의 사이드암 투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기록날짜소속구장상대팀상대 타자경기 결과경기수달성 당시 나이기타각주
100선발승1997.9.12해태광주롯데2-1역대 3번째
500경기 출장2003.9.11KIA광주두산37세 3개월 17일역대 5번째
최다 탈삼진
(1699개)
2004. 4. 13KIA광주현대강귀태
9회 1사 4구 삼진
종전 : 선동열 (1698개)
송진우가 2009년에 경신
뉴스 기사


5. 선수 경력

광주에서 태어나 광주제일고등학교동국대학교를 졸업했다. 1988년 야구 월드컵과 1988년 하계 올림픽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로 참가했다.

1989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첫해 15승 8패, 평균자책점 3.23을 기록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이후 해태 소속으로 총 5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 조계현 등과 함께 마운드를 이끌며 KBO 리그 역사상 유일하게 10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10년 연속 세 자릿수 탈삼진을 기록한 언더핸드 투수가 되었다.

1992년에는 18승 9패와 함께 155탈삼진으로 그해 KBO 리그 탈삼진 1위를 차지했다. 당시 다승왕 경쟁을 하던 송진우가 9월 17일 구원승으로 19승(8구원승 포함)을 거두자, 김응룡 감독은 다음 날 이강철을 선발로 투입했으나 장종훈에게 역전 홈런을 허용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결국 그해 정규 시즌 MVP는 장종훈에게,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는 염종석에게 돌아갔으며, 최다 선발승(17선발승) 타이틀은 윤학길과 공동으로 수상했다.

1996년 한국시리즈에서는 현대 유니콘스를 상대로 5경기에 등판하여 2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0.56의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한국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2]

1999년 시즌을 쉰 뒤, 2000년 자유 계약 선수(FA) 자격을 얻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다. 하지만 2001년 무릎 부상 등으로 부진했고, 시즌 중 친정팀인 KIA 타이거즈(구 해태)로 2억에 현금 트레이드되었다. KIA 복귀 후에는 주로 구원 투수로 활동했다.

2004년 시즌 중 선동열이 가지고 있던 KBO 통산 최다 탈삼진 기록(1,698개)을 넘어섰으나, 같은 해 송진우가 다시 이 기록을 경신했다.

2005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통산 기록은 152승(역대 4위), 1,749탈삼진(역대 2위)이다.

6. 코칭/감독 경력

은퇴 후 2006년부터 KIA 타이거즈의 투수 코치로 활동하며 코칭 경력을 시작했다. 2010년에는 당시 팀의 투수코치였던 스기모토 다다시가 팀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2군으로 내려가자, 그 자리를 이어받아 1군 투수코치를 맡았다. 2012년까지 KIA 타이거즈에서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2012년 시즌 종료 후, 새로 넥센 히어로즈 감독으로 선임된 염경엽의 요청을 받아 넥센 히어로즈의 수석코치로 자리를 옮겼다.[7]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시즌 동안 넥센 히어로즈의 수석코치를 역임했다.

이후 두산 베어스로 팀을 옮겨 2017년에는 퓨처스 리그 감독을 맡았고[1], 2018년 시즌에는 1군 투수 코치를 담당했다.[3] 또한 2017년에는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코치진에 합류하여 대표팀의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18년 시즌 종료 후, 김진욱의 후임으로 kt 위즈의 제3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 감독 부임 첫 해인 2019년에는 팀 창단 이후 처음으로 5할 승률을 달성하며 6위를 기록했고[3], 2020년에는 3위, 2021년에는 창단 첫 통합 우승을 이끌며 kt 위즈를 강팀으로 성장시켰다.

2022년 7월 21일에는 2023 WBC에 참가할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4]

'''주요 코칭/감독 경력'''

기간소속팀직책비고
2006년 ~ 2012년KIA 타이거즈투수 코치2010년부터 1군 투수코치
2013년 ~ 2016년넥센 히어로즈수석 코치염경엽 감독 요청[7]
2017년두산 베어스퓨처스 리그 감독[1]
2017년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코치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2018년두산 베어스1군 투수 코치[3]
2019년 ~ 현재kt 위즈감독3대 감독[1]
2022년 ~ 2023년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감독2023 WBC[4]


7. 통산 기록

해태 시절 10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 10년 연속 세 자릿수 탈삼진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언더핸드 투수였다. 조계현, 이광우와 함께 젊은 투수 3인방으로 활약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5회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1992년에는 18승(17선발승) 9패, 155탈삼진(리그 1위)을 기록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특히 17선발승은 역대 잠수함 투수 최다 선발승 기록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다승왕 경쟁에서는 아쉽게 밀려났다. 송진우가 9월 17일 구원승으로 19승(11선발승)을 거두자[5], 당시 해태 타이거즈 감독이었던 김응용은 다음 날 이강철을 선발로 투입했지만 장종훈에게 역전 홈런을 허용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6] 결국 정규 시즌 MVP는 장종훈,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는 염종석에게 돌아갔다. 송진우의 승수에는 구원승이 포함되어 있어 최다 선발승(17승) 타이틀은 이강철과 윤학길이 공동으로 차지했다.

1996년 한국시리즈에서는 5경기에 등판하여 2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0.56의 뛰어난 활약으로 MVP에 선정되었다.[2]

2000년 FA 자격을 얻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으나, 무릎 부상 등의 여파로 부진하여 2001년 시즌 중 2억에 친정 팀인 KIA 타이거즈로 현금 트레이드되었다. KIA 복귀 후에는 주로 구원 투수로 활동했다.

2004년 시즌 동안 선동열의 KBO 통산 탈삼진 기록인 1,698개를 넘어섰지만, 이강철의 기록은 그 시즌 후반에 현재 KBO 통산 탈삼진 1위인 송진우에 의해 경신되었다.

2005년 시즌 후 은퇴했으며, 은퇴 당시 KBO 리그 역대 최다승, 최다 탈삼진 등 여러 기록을 보유했다. 통산 152승은 KBO 리그 역대 4위(2022년 7월 기준), 통산 1749탈삼진은 역대 2위에 해당한다.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사용하는 최고의 언더핸드 투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4








실점



W
H
I
P
1989해태23158.6523.2336278350195.11531376313792174708011.17
1990241610.6153.14442510150220.21632484316591384778941.12
1991251511.5773.19362411230214.215820544193151087768490.99
199226189.6673.44333012200217.117929714155161088838991.15
1993271010.5003.0431262110154.01139652131130360526381.16
1994281215.4443.6433235110185.2150191058140172086758111.37
1995291010.5003.3029234210150.012715534126180360556351.20
199630109.5262.4628215210153.211411473119130243426111.05
199731113.7862.9930255220162.2130146012128151163546671.17
1998321511.5773.1131283200179.116518476160180370627541.18
2000삼성3414.2007.30147000037.04581702050133301731.68
20013511.5006.07134000029.23231002940120201311.42
해태/KIA3512.3337.86142001126.12761002170023231201.41
01합3523.4006.91276001156.059920050110143432511.41
2002KIA3652.7143.1766000178105.0821236497100041374411.12
20033764.6001.986700091468.14272325781121152730.95
20043862.7502.95790007785.16893115680029283541.16
20053901.0003.20180000319.2231801540077851.58
KBO 통산 : 16년152112.5763.29602265651853332204.2177121879756174918991988980691361.17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빨간 글씨는 역대 최고 기록

참조

[1] 뉴스 Baseball club plucks coach from another team to fill managerial vacancy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18-10-20
[2] 웹사이트 1996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17-11-07
[3] 뉴스 Lee’s long road to the top pays off for Wiz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19-08-29
[4] 웹사이트 https://www.koreabas[...]
[5] 뉴스 천천히 악랄하게 목표물 공격하는 '송골매' https://sports.news.[...] 오마이뉴스 2008-09-28
[6] 뉴스 李强喆(이강철) 다승왕 물거품 張(장)종훈은 홈런 피날레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2-09-19
[7] 뉴스 '타이거즈 맨' 대거 이동 이강철 넥센 수석코치, 이대진은 한화행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12-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